판다는 중국을 대표하는 가장 상징적인 동물로 그 특유의 귀여운 외모와 사랑스러운 모습으로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죠. 하지만 판다들은 생태학적 특징으로 보존이 어려운 동물에 속하기도 합니다. 중국 정부 및 여러 국제 단체들의 판다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1980년대 초 약 1000마리에서 2021년 4월 기준, 약 1800마리의 판다가 야생에서
살고 있다고합니다.
판다의 생태학
판다는 식육목 곰과에 속하며, 식물을 먹는 유일한 곰입니다. 주요 서식지는 사천성, 산시성, 그리고 강쑤성 등의 산림지역으로 주로 대나무 숲에서 서식하고 있습니다.
곰과의 동물이기 때문에 전형적인 육식동물의 소화기관을 가졌지만 초식동물로 주로 대나무를 즐겨먹고 간식도 사과, 바나나, 당근 등과 같은 과일과 채소나 워토우라는 곡물과 계란을 섞은 빵을 먹습니다. 간혹 야생 판다는 작은 동물을 잡아먹기도 하지만 이 경우는 주변에 먹을 대나무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먹을 뿐이고 대나무가 주식인건 마찬가지. 이렇게 대나무를 너무 좋아해서 초식을 하지만 장 구조는 여전히 육식동물과 같아서 보통 초식동물이 70%이상의 소화율을 가졌다면 판다는 고작 17%의 소화율밖에 되지 않아서 엄청난 양의 대나무를 먹어줘야한다고 합니다.
판다는 주로 독립적인 생활을 선호해서 짧은 번식기에만 교미하고 헤어지고 암컷은 홀로 새끼를 출산해 낳아 기릅니다. 짧은 교미를 끝내고 다음 번식기에는 또 다른 상대와 교미를 하는데 동물원이나 시설에 있는 판다는 그 개체수가 한정적이기때문에 짝을 정해주어서 일부일처제가 될 수밖에 없지만 야생이나 개체 수가 많이 있는 시설의 경우 일부일처제라는건 없다고 봐야합니다.
임신기간은 95일에서 160일 정도 되며 태어난 판다는 고작 100그램 남짓하게 아주 작게 태어납니다. 그리고 몇달에 걸쳐 엄청나게 빠르게 성장을 하고 1년 정도 지나면 작았던 모습이 거짓말이었던 것처럼 몇백 kg에 달하는 거대한 우리가 아는 판다의 모습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판다의 특징
사람들이 판다를 사랑 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아무래도 동글동글한 외모와 뒤뚱뒤뚱 움직이는 그 행동들이 아주 많이 귀엽기 때문일것입니다. 성격도 일반적인 곰들보다는 온순한 편이라서 많은 사람들이 더욱 좋아할 수 밖에 없는 매력이 참 많습니다
판다의 크고 둥근 눈은 눈 주변의 검은 무늬와 잘 어우러져서 따뜻하고 부드러운 표정을 만들어내며 보는 이들의 마음을 사르륵 녹이고는 합니다. 판다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흰색과 검은색의 대비가 돋보이는 털은 판다의 매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세상 모든 아기들은 다 귀엽지만 판다의 아기는 그 중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극강의 귀여움을 자랑하는데 엄마판다와 함께 있는 모습을 보면 커다란 엄마와 그 품에서 작게 꼬물거리는 아기 판다는 정말 아주 많이 귀엽습니다. 초식동물의 특성으로 사람을 먹이로 보지 않기도 하고 태어날적부터 인간을 보고 자라는 아기 판다들은 인간에 대한 경계심이 없어 사람을 잘 따른다고 하는데 사육사들과 장난치기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울음소리도 성체가 되면 굵게 우는 다른 곰들과는 달리 판다의 성체는 높은 톤의 울음소리를 낸다는 것도 판다의 귀여움을 한층 더해줍니다.
판다는 포유류 중 대형에 속하는 동물이지만 수컷의 성기가 고작 0.5~1cm밖에 되지 않는 크기로 이마저도 털에 덮여 아예 안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암컷으로 자주 혼동되기도 합니다.
판다의 보존을 위한 노력
대부분의 판다 서식지는 대나무 숲과 밀접해 있습니다. 따라서 대나무 숲의 파괴는 판다의 서식지를 위협하게됩니다. 산림파괴, 개발, 범죄 및 산림 화재와 같은 일들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고 기후 변화로 인해 대나무의 생장 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이는 대나무를 주식으로 한 판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애초부터 번식률이 낮아 번식이 어려운 판다는 서식지 파괴와 계속해서 변해가는 생태계의 변화로 인해 더욱더 악화되어 멸종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중국 정부와 국제적인 보전 단체들이 판다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자연 보호 구역을 설정해 대나무 숲의 보존에 힘쓰고 판다의 번식에 성공하기 위해 인공 번식 프로그램을 시행해서 전문가들은 판다의 성공적인 번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이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판다를 보호하고 관리하는 데는 상당히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합니다. 판다가 먹을 대량의 대나무를 공급하고 수확하고 운반하는 데에 드는 비용은 물론이고 판다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데에도 많은 자금이 필요합니다. 중국은 무조건 임대로만 판다를 해외로 내보내기 때문에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매년 높은 금액의 임대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사육할때 드는 비용이 무시무시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중국에서 자국의 판다들을 사육하기 위한 비용으로 쓰인다고 합니다. 이 해외 임대료와 중국 정부 자체 예산을 합해도 겨우 충당할 정도로 예산이 빠듯하다는 것을 보면 판다가 참 엄청난 동물인것은 확실하죠.
이렇듯 비용이 정말 어마무시하게 드는 판다지만 동물원에는 없어서는 안될 간판스타로 많은 관람객을 끌어모으는 존재라서 이 모든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곳들은 판다의 유지비를 기꺼이 지불하고 판다를 데려오는데 반대로 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지면 조기에 반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댓글